연합뉴스
'뜨거운 지구' 패션산업도 바꾼다…유니클로 "3월부터 여름옷"
입력 2025.07.11 02:49수정 2025.07.11 02:49조회수 0댓글0

7월 8일 폭염이 덮친 그리스 아테네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 때 이른 폭염이 유럽과 아시아, 미국을 강타하면서 패션 트렌드도 바꿔놓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여름이 더 길어지고 더 무더워지면서 일찌감치 여름옷을 찾는 수요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일본 패션 브랜드 유니클로 모회사 패스트리테일링의 오카자키 다케시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티셔츠와 자외선 제품, 브라톱, 기능성 의류인 에어리즘 등 "여름 아이템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했다.

이례적인 폭염에 소비자들이 여름 의류 구매를 앞당기고 있으며 3월부터 5월까지 여름용 제품의 글로벌 판매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분기(3~5월) 순이익은 1천55억엔(약 9천88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7% 감소했지만, 매출은 7.7% 증가한 8천260억엔(약 7조7천300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순이익은 10% 증가한 4천100억엔(약 3조8천400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회사 측은 전망하고 있다.

유니클로는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에어리즘 같은 냉각 원단이나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춘 가벼운 의류 등을 개발하는 한편 계절과 상관없이 연중 판매할 수 있는 의류 재고를 늘려왔다.

유니클로 중국 베이징 매장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오카자키 CFO는 또 "레이어링(겹쳐 입는 것) 제품에 대한 수요가 상당히 높아졌다"면서 전 세계적인 트렌드인 것 같다고 했다. 낮과 밤의 큰 일교차에 익숙해진 유럽인들이 얇은 겉옷을 겹쳐 입는 경향이 생겨났는데 날씨 변화가 극심해지면서 이런 트렌드가 아시아에도 확산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소비 부진을 겪고 있는 중국에서는 매출이 5% 감소했다.

유니클로는 중국 내 매장 확장 대신 수익성 낮은 매장은 폐쇄하고 입지가 좋은 상권 등에는 대형 매장을 여는 전략을 펴고 있다.

또 다음 달 1일부터 미국의 상호관세가 발효되면 제품 가격 인상을 검토할 방침이다.

khmoo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미코아카데미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한국시장
코아부동산
신주쿠부동산센터
재팬고 익스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