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광주서 전동킥보드 사망사고 잇따라…단속 건수도 급증
입력 2024.07.29 05:21수정 2024.07.29 05:21조회수 2댓글0

연간 사고 100여건 발생…"경각심 높이고 기술 보완도 필요"


전동킥보드(자료 사진)

[연합뉴스TV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광주=연합뉴스) 김혜인 기자 = 최근 광주에서 개인형 이동장치(PM) 탑승자 사망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는 등 사고위험에 노출된 이용자들이 늘고 있다.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기술적 보완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9일 광주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광주 관내에서 전동킥보드 탑승자 사망사례가 2건 발생했다.

전날 오전 6시 30분께 광주 광산구 신창동의 한 교차로에서 전동 킥보드를 타고 가던 20대 남성 A씨가 시내버스와 부딪혀 사망했다.

이에 앞선 지난 20일 오전 5시 35분께에는 광주 남구 봉선동의 한 도로에서 2명이 타고 있던 킥보드와 버스가 충돌해 1명이 숨지고 1명이 다쳤다.

두 사고 사상자 모두 헬멧 등 안전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3년간 광주에서는 100건 내외의 개인형 이동장치 사고가 발생했다.

광주경찰청에 따르면 관내 개인형 이동장치 사고 건수는 2021년 100건, 2022년 92건, 2023년 111건 등이다.

이중 사망 사고 사례는 최근 발생 2건으로 개인형 이동장치 사용이 급증하면서 사고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개인형 이동장치의 교통법규 위반 단속사례도 급증세다.

광주경찰청 단속 첫해인 2021년(5~12월) 5천804건 위반사례를 적발한 것을 시작으로 2022년 8천224건, 2023년 9천112건, 2024년 상반기(1~6월) 9천970건 등으로 늘어났다.

가장 많이 적발된 유형은 '안전모 미착용'으로 올해 9천327건이 단속됐고 무면허, 음주, 정원 초과 등 위반사례가 뒤이었다.

전문가들은 개인형 이동장치도 도로교통법상 원동기장치자전거에 속한 교통수단인 만큼 교통법규 준수 의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민우 도로교통공단 안전교육부 교수는 "헬멧을 착용하지 않거나 2인 이상 탑승하는 경우 안전사고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며 "면허 확인 시스템 고도화나 2명 이상 탔을 경우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등 안전 기술도 보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i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성과를 내는 홈페이지 제작
가온부동산
냥스튜디오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신주쿠부동산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