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9월 서울·경기 신고가 비중 증가…10·15대책으로 이어져"
입력 2025.10.20 12:31수정 2025.10.20 12:31조회수 0댓글0

서초·광진·과천은 신고가 거래 비중이 절반 넘어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6·27 가계부채 대책 이후 숨 고르기에 들어갔던 주택 시장이 지난달 가격 반등 흐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 공개 시스템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은 지난 6월 23%에서 8월 19%로 떨어졌으나 9월 24%로 반등했다.

9월 서초구의 신고가 비중이 54%로 가장 높았으며 광진구(50%), 마포구(44%), 성동구(43%), 강남구(42%), 중구(41%), 강동구(37%)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노원구(1%), 도봉·금천구(각 2%), 강북구(4%), 성북·관악구(각 6%) 등의 지역은 신고가 비중이 한 자릿수에 머물며 상승 확산 영향이 제한적이었다.

2025년 8월과 9월 서울 주요 지역 신고가 거래 비중

[직방 제공]

원본프리뷰

경기도의 흐름도 서울과 유사하게 핵심 축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이 전개되는 모습을 보였다.

9월 과천시(57%), 성남 분당(43%)·중원(23%)·수정(21%)구, 하남시(11%)에서 두 자릿수 신고가 비중을 기록했다.

직방은 "10·15 규제지역 조정은 이런 상승 압력이 확산하는 흐름에 대응한 조치"라고 해석했다.

정부는 지난 15일 서울 25개 자치구와 경기 12개 지역을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일괄 지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 10·15 대책을 발표했다.

경기에서 10·15 대책을 통해 규제지역으로 묶인 12곳의 경우 신고가 비중이 8월 11%에서 14%로 높아졌다.

직방은 "단기적으로는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자금 여력이 있는 수요층은 핵심 입지 중심으로 이동을 이어가고, 실수요층은 예산에 맞춘 대체 지역이나 중간 가격대 주택을 선택하는 흐름을 보일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redflag@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한국시장
디지텔
하나송금
코아부동산
신주쿠부동산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