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 70% 극단적 선택 시도한 피해자 진료

학교 안에서 학교폭력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지난해 12월 28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열린 '학교폭력 예방 및 대응정책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조강연 자료를 보고 있다. 2022.12.28 mjkang@yna.co.kr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이 진료한 학교폭력 피해자 대부분이 복수 계획을 세운 적이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17일 나왔다.
학교 내 정신건강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의사 단체 '한국학교 정신건강의학회'에서 전문의 65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설문 조사한 결과 전문의 78.5%는 학교폭력 피해자를 진료한 경험이 있다고 했다.
이들 가운데 90.2%는 학교폭력 가해자를 상대로 복수를 생각하는 피해자를 진료했으며, 47.1%는 구체적인 복수계획을 세우는 피해자를 진료했다고 답했다.
학폭 피해로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환자를 진료한 적이 있는 전문의는 70%에 이르렀다.
환자들의 증상으로는 우울, 불안, 대인기피, 학교거부, 자해가 가장 많았다고 전문의들은 전했다. 불면증과 분노조절 어려움 등을 호소하는 경우도 많았다.
전문의 84.6%는 학교 폭력 피해가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PTSD)이 연관이 있다고 답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된 대상의 3명 중 2명은 불안이나 우울 등의 증상이 동반됐다.
전문의 44.6%는 학폭 피해가 '신체화 장애'와도 연관이 있다고 답했는데, 이는 정신적 고통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해 배나 머리 등이 아프고 답답해지는 증상을 의미한다.
전문의 61.6%는 학교 폭력 피해로 인해 피해자 가족이나 또래 관계가 와해될 수 있다고 답했다.
피해자들의 증상은 치료받으면 호전됐지만 후유증은 쉽게 치유되지 않았다. 당장의 불면증과 우울감 등의 증상은 좋아질 수 있지만 사람에 대한 불신이나 배신감은 치유가 어렵다는 것이다.
전문의들은 학교폭력이 중단됐다고 해서 바로 증상이 호전된 환자를 본 경험은 없다고 답했다.
31.4%의 전문의는 수년 동안 후유증이 지속되는 환자를 진료하고 있었다. 62.7%는 학교폭력 피해자들의 후유증이 성인이 된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고 답했다.
전문의 78.4%는 우리나라 학교 폭력 문제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한국학교 정신건강 의학회는 "학교폭력 피해자가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면 오랜 시간이 지나도 자극에 의해 당시 고통을 생생하게 재경험할 수 있다"며 "정신 건강 전문가의 학교 현장 개입이 용이하도록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f@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