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DSR 4년만에 40% 돌파…7명중 1명은 원리금상환에 소득 70% 쓴다
입력 2023.03.23 02:13수정 2023.03.23 02:13조회수 4댓글 0

지난해 4분기 기준 전체의 6.3%는 취약차주…평균 DSR 66.6% 달해 한은 "가계대출 연체율, 작년말 0.7%→올해 말 1.0%로 상승" 전망


원리금상환 예상액

[연합뉴스TV 제공]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가계대출 차주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년 만에 40%를 넘어섰다.

전체 차주 7명 중 1명은 원리금 상환에 소득 70% 이상을 쏟아붓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연체율은 현재 0.7%에서 올해 말 1.0% 수준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은 23일 공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서 최근 가계부문의 부실 위험과 DSR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 취약차주, 이미 월소득 67% 원리금 상환에 써

한은 분석 결과 지난해 4분기 기준 가계대출 차주의 평균 DSR은 40.6%로 집계됐다.

DSR은 소득 대비 갚아야 할 원리금의 비율을 뜻하는 지표다.

가계대출 차주 평균 DSR이 40%를 넘은 것은 2018년 4분기(40.4%) 이후 4년 만이다.

다만 4분기 새롭게 대출을 받은 신규차입 차주의 DSR은 17.3%로 차주 단위 DSR 규제 강화 전인 2020년 4분기(23.8%) 대비 하락했다.

기존 대출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대다수 차주의 DSR은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같은 기간 33.8%에서 38.4%로 높아졌다.

가만히 있어도 매달 갚아야 하는 대출 원금과 이자 부담이 커진 셈이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전체 가계대출 차주의 68.1%(대출 비중 34.4%)는 DSR 40% 이하에 분포했다.

그러나 DSR이 70%를 초과하는 고DSR 차주가 7명 중 1명꼴인 전체의 15.3%(대출 비중 41.9%)였고, 100%를 초과해 소득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더 많은 차주도 11명 중 1명인 8.9%(대출 비중 29.4%)로 집계됐다.

다중채무자(3개 이상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이면서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후)인 취약차주는 4분기 기준 전체의 6.3%로, 이들의 평균 DSR은 66.6%에 달했다.


원본프리뷰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2021년 소득·지출 대상) 자료를 토대로 차주 기준이 아닌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평균 DSR을 추정한 결과 29.4%로 나타났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DSR은 지난해 3분기 기준 13.7%로 호주(14.9%)에 이어 주요국 중 두 번째로 높았고, 코로나19 이후 상승 폭(2019년 말 대비+1.5%포인트)도 가장 컸다.

한은은 "2021년 하반기 이후 가계대출 차주의 DSR은 상승하고 있지만 금융권 관리기준(40∼50%) 이내"라며 "당장 가계 전반의 채무 상환부담 급증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다만 주요국에 비해 가계부채 비율이 상당히 높은 데다, 고DSR 차주 대출잔액이 많고 취약차주 부담이 큰 만큼 DSR 규제 안착을 통해 점진적 가계부채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을 꾸준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은, 가계부채 디레버리징 추진해야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 "가계대출 연체율 올해말 1.0%로 상승"…저축은행·여전사 우려돼

한은은 이처럼 가계 전반의 부실위험은 낮지만, 향후 채무상환 부담이 과도하고 자산처분을 통한 부채상환 여력도 부족한 고위험가구의 부실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DSR이 40%, 자산대비부채비율(DTA)이 100%를 모두 상회하는 고위험가구는 지난해 이후 이자 부담 증가, 자산 가격 하락으로 대출 연체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는 지적이다.

이들 고위험가구의 평균 DSR과 DTA는 2021년 101.5%와 131.6%에서 올해 2월 현재 116.3%와 158.8%로 크게 상승했다.

고위험가구는 2월 현재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5.0%, 금융부채의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구체적으로 고위험가구의 평균 금융부채 규모는 2억5천만원으로, 비고위험가구(1억원)의 2.5배였다.


원본프리뷰

한은은 고위험가구 중 30일 미만 단기 연체경험 가구(고위험가구의 6.9%), 연체 경험이 없더라도 향후 부채상환이 어려울 것으로 응답한 가구(고위험가구의 5.3%)가 점차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전체 가계대출 연체율 변화를 추정했다.

그 결과 전체 가계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2월 말 0.66% 수준에서 올해 말에는 1.0%까지 상승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여전히 장기 평균(2009∼2022년 중 1.3%)을 밑도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금융권별로는 저축은행 및 여신전문사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현재도 이미 높은 데다, 향후에도 다소 빠르게 상승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과 여전사는 가계대출 고위험가구 대출 비중이 각각 26.6%와 16.6%로 은행(7.2%), 상호금융(11.6%), 보험사(12.4%)에 비해 높은 데다, 고위험가구 대출 중 신용대출 비중도 34.1%와 41.1%로 높은 점이 문제로 지목됐다.

한은은 다만 지난해 말 기준 자본적정성 비율이 저축은행 13.3%(규제비율 7%), 여전사 17.8%(규제비율 7∼8%) 등으로 나타나 손실 흡수능력이 양호한 만큼 기관 부실 우려는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은행의 경우 고위험가구 대상 대출 비중이 낮아 연체율 상승 정도가 제한적일 것으로 추정했다.

한은 "분할상환 및 고정금리 대출 비중 확대해야"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한은은 "향후 일부 비은행금융기관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연체율 상승 우려가 있다"면서 "다만 금융시스템 전반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은은 "금융기관은 대손충당금 적립 등 손실흡수 능력 제고와 연체 관리에 힘쓸 필요가 있다"면서 "DSR 수준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분할상환 및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꾸준히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pdhis959@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정애진 한국무용학원
소라방문카이고
글로벌로드
에이스 종합통신
우에노 아메요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