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30 회의장 돌진 시도…시추·벌목 등 계속되는 개발에 큰 좌절감

COP30 회의장 진입을 시도한 브라질 원주민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브라질 벨렝에서 개최된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30) 현장에서 아마존 원주민 시위대가 회의장 진입을 시도하다 경비 인력과 충돌하는 일이 벌어졌다.
AP,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원주민 수십명은 11일(현지시간) 오후 늦게 "우리는 땅을 팔 수 없다", "우리를 배제하고 결정을 내릴 수는 없다"라고 외치며 회의장 입구로 돌진했다.
현장 목격자들은 시위가 구호를 외치는 수준으로 진행됐으나 경비원들이 출입문을 급히 닫고 인력을 추가로 부르면서 긴장이 고조됐다고 전했다.
양측은 출입구 근처에 있던 플라스틱 통을 서로 던지면서 충돌했고, 일부 경비원은 원주민이 던진 북채 등에 맞아 복부를 다치고 이마에 상처를 입었다.
경비대가 탁자를 쌓아 임시로 바리케이드를 만들면서 충돌은 진정됐고 시위대는 현장을 떠났다.
현장에 있었던 아마존강 하류 타파조스 지역의 투피남바 공동체 지도자인 길마르는 "우리가 돈을 먹을 수는 없다"면서 "우리는 우리 땅이 기업식 농업, 석유 탐사, 불법 채굴꾼, 불법 벌목꾼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충돌을 목격한 현지 청년 환경단체 회원 아구스틴 오카나는 "그들은 나쁜 사람들이 아니라 절박한 사람들이다. 자신의 땅과 강을 지키기 위한 행동이었다"고 강조했다.
오카다는 교육, 보건, 산림보호 등 원주민에 필요한 지원이 많은데도 사회적 자원이 '완전히 새로운 도시' 건설에 쏟아지는 것을 보며 원주민 사회가 큰 좌절감을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

원주민 지도자이자 환경운동가인 라오니(왼쪽) 추장이 COP30 행사에 참석한 모습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원본프리뷰
COP30이 열리고 있는 벨렝은 '아마존의 관문'으로 불리는 도시다.
개최국 브라질은 이번 회의에서 원주민 공동체가 기후변화 대응의 핵심 주체라는 점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현지 원주민들은 정부가 산림 보존을 이야기하면서도 실제로는 대규모 인프라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브라질의 대표적 원주민 지도자 라오니 메투크티레 추장은 원주민 사회의 많은 구성원이 아마존에서 진행되는 개발 사업에 불만을 품고 있다면서 정부가 원주민에게 아마존을 보호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남미 대륙의 원주민 대표 수십명은 COP30 현장에서 목소리를 내기 위해 벨렝에 모여있다.
COP30은 각국 정부 대표와 국제기구가 한자리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논의하는 최고위급 국제회의다.
미국 정부의 불참으로 기후위기 대응 전선에 균열이 난 상황에서 협약 당사국들은 작년에 개발도상국 기후변화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약속한 연간 1조3천억달러(약 1천907조원) 규모의 기후재원을 구체화하는 방안 등을 집중 논의 중이다.
withwit@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