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부 "마약밀매 차단 역량 보강"…베네수, 마두로정권 전복 시도 의심
베네수軍, 예비군까지 동원해 군사 훈련…美에 게릴라전술 대응 관측도
외신 "베네수, 고의로 사회 혼란 조장…러에 미사일 등 군사 지원 요청"

미 해군의 제럴드 포드 항모 전단
[미 해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워싱턴·멕시코시티·서울=연합뉴스) 김동현 이재림 특파원 김병수 기자 = 중남미 카리브해에서 미국과 베네수엘라간 군사적 긴장의 파고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마약과의 전쟁'을 명분으로 카리브해에 미군 병력을 대거 배치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베네수엘라의 니콜라스 마두로 정권을 전복하기 위해 군사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는 가운데 미군의 항공모함(항모) 전단이 베네수엘라 인근에 도착했다.
이에 맞서 베네수엘라는 육해공군은 물론 예비군에 대한 대규모 동원령을 발령하고, 훈련을 실시하기로 해 두 나라가 일촉즉발의 군사적 충돌 위기로 치달을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미 해군은 11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그동안 지중해에서 작전을 수행해온 제럴드 포드 항모 전단이 미군 남부사령부 작전구역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미군 남부사령부 작전구역에는 멕시코 이남 중남미 지역과 주변 해역, 카리브해 등이 포함된다.
지난 2017년에 취역한 포드 항모는 미국의 최신예 항모이며, 세계에서 가장 큰 항모이기도 하다.
항모 전단은 이 지역에서 마약 카르텔을 상대로 군사 작전을 수행해온 미군 전력을 보강하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전개를 지시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으로 마약을 밀수하는 베네수엘라의 마약 카르텔들을 테러단체로 지정했으며, 미군 자산을 카리브해로 보내 '마약 운반선'을 격침해 왔다.
이에 베네수엘라는 "마두로 대통령 축출이 미국의 진짜 목적"이라고 강하게 반발하면서, 양국 간 긴장이 고조돼왔다.
미국 언론도 트럼프 행정부가 마두로 정부 전복 목적으로 다양한 군사적 옵션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군은 지난 9월부터 지금까지 카리브해와 동태평양에서 마약 운반선으로 의심되는 선박을 상대로 최소 19차례 공습을 가해 최소 76명을 살해했다.
이 지역에는 이미 군함 8척, 원자력 추진 잠수함, F-35 전투기 등이 배치됐다.
숀 파넬 미 국방부 대변인은 "이들 전력은 마약 밀매를 차단하고 초국가적 범죄단체들을 저해·해체하기 위한 기존 역량을 강화·보강할 것"이라고 밝혔다.

11일(현지시간) 베네수엘라 좌파 지도자 우고 차베스 벽화(왼쪽)와 투쟁 의지를 고취하는 글귀
[카라카스 A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베네수엘라는 군사력에서 미국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현저히 열세라는 평가를 받지만, 마두로 정권을 겨냥한 미국의 군사적 조치에 맞서겠다며 항전 의지를 밝히고 있다.
CNN 방송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파드리노 로페스 베네수엘라 국방장관은 이날 미 해군의 포드 항모 전단 추가 투입 등 이 지역에 대한 미군의 군사력 증강에 맞서 베네수엘라가 자국의 병력, 무기, 군사장비를 대규모로 동원한다고 선언했다.
그는 이번 동원령이 마두로 대통령의 명령에 따른 것이라며 베네수엘라의 육군, 해군, 공군 및 예비군들이 12일까지 훈련을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번 훈련에는 베네수엘라의 정규군뿐만 아니라 볼리바르 민병대가 훈련에 참여한다고 CNN은 전했다.
볼리바르 민병대는 민간인으로 구성된 예비군으로, 전임 대통령인 고(故) 우고 차베스가 창설했으며, 스페인으로부터 수많은 라틴아메리카 국가의 독립을 쟁취한 혁명가인 시몬 볼리바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전력이다.
이런 가운데 로이터 통신은 현지 소식통을 인용해 미군의 군사적 행동이 현실화할 경우, 베네수엘라군은 현실적인 전력 차이를 고려해 미군에 정면 대응하기보다는 '게릴라 전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미군으로부터 공중 또는 지상 타격을 받으면 소규모로 편성된 부대가 산개해 전국 280여곳에서 각개 전투식 대응을 한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마두로 정권이 일부러 베네수엘라내 사회 혼란을 조장하는 이른바 '무(無)정부화'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정보기관과 무장한 여당 지지자들이 수도 카라카스를 통제 불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외국 군대조차 개입하지 못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다만, 이런 저항 전략의 성공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게 현지 정보원들의 견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마두로 정부는 수십 년 된 구식 러시아제 장비까지 동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네수엘라는 2000년대에 러시아 측으로부터 수호이 전투기 약 20대를 구입한 바 있다.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마두로 대통령이 수호이 전투기 수리, 레이더 시스템 개선, 미사일 체계 공급 지원을 러시아에 요청한 상태라고 보도했다.
마두로 대통령은 최근 국영TV 프로그램에서 러시아제 견착식 대공 미사일 '이글라-S' 5천기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이글라-S는 우리 영토 끝까지 배치돼 있다"라고 주장했다.
bluekey@yna.co.kr walde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