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MP "習, 지난 1월 '대만문제 신중 촉구'…트럼프, 공개적 대만 지지 주저"
中, 대만에 민진당 출신 '친중' 국민당 주석 선출 이후 대만 통일 파상공세

부산 미중정상회담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홍콩 SCMP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부산 미중 정상회담에서 대만 문제가 전혀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중국 내에서 통일 기대감이 커지는 양상이다.
중국은 대만을 독립 국가로 인정하지는 않지만 무력 점령하려는 외부의 어떠한 시도에도 반대하며 무기 공급을 지속한다는 입장인 미국이 그동안 크고 작은 외교 담판에서 이를 확인해왔으나, 3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 간 회담에선 그렇지 않은 데 주목한다.
이를 두고 중국 내부에선 미국에 입장 변화가 생긴 것 아니냐는 '희망 섞인' 관측도 한다.
일각에선 미국 우선주의를 주창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외교·안보 사안인 이른바 '대만 카드'를 지렛대 삼아 경제적 이익을 챙긴 것 아니냐는 견해도 비친다.
3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이전의 미중 정상회담과는 달리 이번에 대만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던 이유는 시 주석과 트럼프 대통령이 대만 문제를 우선순위에서 제외하자는 암묵적이고 실용적인 합의에 도달했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SCMP는 그러면서 지난 1월 재집권한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 간 첫 직접 대화인 이번 정상회담에서 대만 문제가 전혀 거론되지 않은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 관변학자인 난징대 국제학부 학장인 주펑 교수는 "최근 중미 외교에서 대만 문제의 중요성이 떨어졌다"고 짚었다.
그는 "대만은 미국의 안보나 외교 정책에서 우선순위가 아니다"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대만 문제에 대한 중요성을 크게 낮춘 게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상하이 푸단대 미국연구센터의 우신보 주임은 "트럼프 대통령은 대만보다는 경제와 무역 문제에 관심이 있는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정상회담을 위해 일본에서 한국으로 향하던 29일 전용기 내에서 "대만과 관련한 논의를 할지 모르겠다. 대만은 대만"이라는 입장을 밝혔고, 정상회담 후에도 대만 문제는 "전혀 나오지 않았고 논의되지 않았다"고 아무렇지도 않게 확인한 바 있다.
전날 관영 신화통신을 통해 발표된 미중 정상회담 후 중국 당국의 발표문에서도 대만은 물론 남중국해와 인권 등 민감한 문제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와는 달리 시 주석과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2022∼2024년 세 차례 직접 만나 회담했을 때는 물론 전화 통화에서도 매번 대만 문제가 꾸준히 거론됐었다고 SCMP는 소개했다.

중국 - 대만 (PG)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원본프리뷰
이 신문은 그러면서 시 주석이 지난 1월 트럼프 미 대통령 재취임 직후 전화 통화에서 "대만 문제를 신중히 다뤄달라"고 촉구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이전 대통령들과는 달리 "공개적인 대만 지지를 주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신문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9월 대만에 대한 4억달러 이상의 군사원조를 승인하지 않았고, 그보다 앞서 라이칭더 대만 총통의 미국 경유 요청을 거부했다면서, 이런 가운데 대만 내에서 미국의 방위 공약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베이징외국어대학의 추이훙젠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거래적 외교 접근방식으로 인해 대만 문제가 미중 정상회담 의제에 포함되지 않은 것"이라면서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대만 문제를 거론할 것"이라고 짚었다.
실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지난 22일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과 무역협상에서 유리한 조건을 얻기 위해 대만 지지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한 데서도 미국 입장이 잘 드러난다.
그러나 주펑 교수는 작금의 미중 간 분위기를 고려할 때 내년 4월 트럼프 대통령의 방중을 통한 미중 정상회담에서도 "미국 측이 대만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은 작다"고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영문 자매지인 글로벌타임스는 이날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관계 발전과 통일의 이익'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중타이원'(鍾台文)이라는 필명으로 게재했다.
중국 당국 차원에서 작성되는 이 글은 중국과 대만의 통일을 구체적으로 짚은 것으로, 지난 27일 관영 신화통신이 송고한 걸 글로벌타임스가 뒤늦게 게재한 것이다.
이 글은 중국의 대만 담당 기구인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의 위챗 계정에도 공식 게재됐으며, 이외에도 중국 관영 매체들에 이번 미중 정상회담에서 대만 문제가 거론되지 않은 사실이 비중있게 보도됐다.
이로 미뤄볼 때 미중 정상회담을 전후로 중국 관영매체들이 대만 통일 기대감에 대한 파상공세를 펼치고 있다는 게 외교가의 대체적 시각이다.
중국 당국의 이 같은 대만 통일 공세는 최근 대만의 정치 지형 변화와도 관련 있어 보인다.
지난 18일 대만 야당 국민당의 당 주석 선거에서 집권 민주진보당(민진당)에서 정치 이력을 쌓았던 정리원 전 입법위원이 당선돼 친중국 행보를 보이는 데 보조를 맞춰 중국 당국이 대만 통일의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는 것이다,
시 주석은 정리원 신임 주석이 당선되자마자 "국가 통일을 추진하기를 바란다"고 축전을 보낸 바 있다.
정 신임 주석 역시 그 후 언론매체를 통해 "'92공식'(1992년 '하나의 중국'을 인정하되 각자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 합의) 인정과 대만 독립 반대"라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중국의 환심을 샀고, 기회가 된다면 시 주석과 만나겠다는 입장을 밝혀 대만 정가를 뒤흔들고 있다.

대만 제1야당 국민당 정리원 신임 주석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kjih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