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연합뉴스
미국 압박에…중국 드론 수출규제, 러시아에 '직격탄'
입력 2023.09.19 01:10수정 2023.09.19 01:10좋아요0싫어요0
댓글
0

중국, 이달초부터 드론·부품 수출 통제…러시아 군용드론 조달 차질


우크라이나 키이우를 공격하는 러시아군의 샤헤드 드론

FILE - A drone is seen in the sky seconds before it attacked buildings in Kyiv, Ukraine, on Oct. 17, 2022. The Russian military has been using the Iranian Shahed exploding drones to strike Ukraine's vital infrastructure for more than a year. (AP Photo/Efrem Lukatsky, File) FILE PHOTO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박진형 기자 = 세계 최대 무인기(드론) 생산국인 중국이 드론 주요 부품 등에 대한 수출 통제에 나서자 러시아의 군용 드론 생산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미국 뉴스위크가 러시아 일간 코메르산트를 인용,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이달 초부터 드론 수출 규제를 시행하면서 러시아의 드론 조달이 심각하게 복잡해지고 열영상 장비 등 상당수 드론 부품의 부족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앞서 지난달 초 중국은 중앙군사위원회 등 성명을 통해 이달 1일부터 특정 등급의 드론, 드론 엔진, 적외선 영상 장비, 통신 장비, 무인기 공격에 대응하는 '안티 드론' 장비 등을 허가를 거쳐서만 수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들 중국 기관은 "특정 국가를 겨냥한 조치가 아니다"라면서도 "민간 드론이 군사적 용도로 전용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관련 국가들에 이번 조치를 통보했다"고 밝혔다.

중국 당국은 미국 정부로부터 중국 기업들이 러시아에 드론 등 전쟁 물자를 지원하고 있다는 압박을 받은 뒤 이 같은 조치를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에도 러시아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전쟁 자체에 대해서는 중립을 표방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역사상 첫 '드론 전쟁'으로 불릴 정도로 양측 모두 드론을 폭넓은 용도로 대량 사용하고 있다.

러시아의 경우 이란제 샤헤드 131/136 드론 등을 이용해 우크라이나 도시와 인프라에 자폭 공격을 자주 가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 드론 완제품과 부품 시장을 장악한 중국이 러시아가 군용으로 전용 가능한 농업용 등 대형 드론과 관련 부품의 수출을 집중적으로 규제하면서 러시아에 타격이 되고 있다.

미국 싱크탱크 해군분석센터(CNA) 새뮤얼 벤데트는 이 같은 중국의 드론과 관련 부품 수출 규제는 러시아의 드론 관련 분야와 기관들의 "뜨거운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벤데트는 "(중국의 드론 수출) 규제가 러시아 (드론) 시장에 미치는 진짜 영향의 핵심은 현재 러시아에 이미 들어와 있는 중국제 드론과 드론 부품의 가격 급등"이라고 설명했다.

영국의 드론 전문가인 스티브 라이트는 드론에는 엄청난 양의 전자장비가 필요하며, 이 분야에서 러시아가 자체 조달 능력을 갖추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 상황이 "중국이 드론 기술을 얼마나 확고히 장악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매우 흥미로운 사례"라며 "요약하자면 중국 당국이 러시아와 서방 각국의 드론 시장의 상당 부분을 말려 죽인 것"이라고 분석했다.

jhpark@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싫어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우에노 아메요코
빌딩 청소
최고야
부동산매칭센터
신주쿠부동산센터
空間 DOCTOR 인테리어